심리상담 기획시리즈/마음정원 가꾸기

⑦ 대인관계 목표를 서로의 행복에 우선을 두라.

편집국 | 기사입력 2025/01/03 [19:27]

심리상담 기획시리즈/마음정원 가꾸기

⑦ 대인관계 목표를 서로의 행복에 우선을 두라.

편집국 | 입력 : 2025/01/03 [19:27]

▲ 국용환 화성시민대학평생교육원장

 

매사에 불평과 비판을 주고받으며 자라나, 많은 갈등을 초래하고 주변 사람들과의 충돌로 외톨이가 된 현대판 까칠이가 된 불행한 사람을 심리치료로 도운 상담 경험이 있다. 어린 성장기에 아픈 삶을 살아온 남편은 부부관계 부모 자식 형제 직장 등 여러 부분에서 부조화로 힘들고 아파하며 살았다.

 

괴로운 삶을 호소하는 아내와 똑똑해 보이기는 하나 관계 설정에 대책 없는 남편이었다. 대부분의 관계 실패자는 아픈 과거의 기억과 현재의 갈등 상황, 그리고 두려운 미래와 마주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 이유는 인생에 가장 중요한 관계 설정 훈련에 실패를 여러 번 반복한 경험 때문이다.

 

그와는 반대로 성숙한 성공자들은 훌륭한 관계에 비결이 있다. 그들은 심성과 인격이 원만하고, 삶의 경험도, 질적인 수준도 잘 훈련된 결과로 다른 사람과 확연한 차이를 가진다.

 

현대인들은 수많은 관계 속에서 생존해야 하는 냉혹한 사회에 내 던져지듯 대책도 준비도 없이 단순한 경험에만 의존한 채 버티며 살아가고 있다. 때문에, 관계성과 사회성의 결여로 삶의 질과 성과는 떨어지고, 자조적이며 과민한 반응으로 살아간다.

 

지능에 의존하던 I.Q 우선 시대에서, 감성을 중시하는 E.Q 시대를 넘어, 관계 중심적 협업을 절대화하는 무한경쟁의 정보화시대로 접어들면서 N.Q, 즉 네트워크 시대로 발전하고 사회성 발달에 지대한 관심으로 확대되어 간다.

 

심리학 이론 중 자아관계(自我關係)의 조화와 타인관계(他人關係)의 균형을 원천적 관계 발달의 과제로 꼽는다. 이 둘이 공감 능력의 원천이 되기 때문이다. 이런 능력이 저하되면 자신감, 자존감도 떨어지고, 대인관계도 관찰과 평가만 강화된다. 때문에 상대는 관계를 피하거나 사고 중심적 냉정함 때문에 관계를 끊어버리기도 한다.

 

현대의 인간관계는 자타의 행복과 사랑에 연계되기보다,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업적과 성과주의가 삶의 목적이 되어가고 있다. 데니스 D 더롯은 인생은 대상을 관찰하는 것에 좀 더 부지런하고, 사고는 심오하고 실험은 정확해야 한다.

 

이러한 세 가지 수단이 결합 되는 것을 좀처럼 보기 어렵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창의적인 천재가 드물게 될 것이다고 했다. 성공적인 감성 관계자들은 관찰의 목적을 성취를 목표로 하기보다, 한 개인의 존재가치와 피차간 유익을 관계 목표로 삼는다, 목표를 더 높은 차원으로 적용하면 성찰(省察)이 되고, 성공과 실패, 행복과 불행의 길목에서 다른 차원의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성찰(省察)하는 개인적 능력은 상대방과 심오한 공감(共感)적 관계가 최우선 요소가 된다. 관계는 자세의 문제다. 자신에게는 너그럽고, 상대에게는 엄격한 자아중심적 관계와, 상대중심적 친밀감과 공감으로 관계하는 사람과는 큰 차이가 있고, 개인적 기질의 문제도 있다.

 

마냥 즐거워야 하는 다혈질적 생귄(Sanguine)인 수직 상승형 평화를 최우선으로 추구하는 플레그매틱(Phlegmatic)인 수평 확장형 언제나 도전과 새로운 경험과 성취로 만족하려는 콜레릭(Choleria)인 전방 직진형 예술적이며 완벽한 완성도에 집착하는 멜랑콜리(Melacholic)인 심층 직하형으로 구별하여 설명한다. 앞의 2개 형의 인간 중심적 기질과, 뒤의 2개 유형의 일 중심적 기질로 나뉘어 우선순위에 따라 대인관계가 극렬한 대조를 보인다.

 

이들은 목적과 방법도 확연히 다르다. 가족, 단체, 직장 사회가 자기만족과 자기중심으로 기대한다. 다른 한편은 피아(彼我)간에 조화, 균형, 연합을 중시한다. 성찰한다는 것은, 살피고 반성한다는 원리이다. 내 목표와 내 방법이 상대방과 다를 수 있다는 인식이 배려와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전제는, 사용하는 언어와 가치개념의 선택과 구분이 필요하다. 폐쇄적 개념인

 

나보다 네가 틀리다라는 표현이, 개방적 개념인 너와 나는 다르다용어와 가치가 삶의 방향과 내용을 달라지게 한다. 관계와 대상의 통찰(通察)이란, 어떻게(how)와 왜(why)가 훌륭히 조화된 내적 심리상태로, 삶의 의미와 가치로 함께 승화될 때를 의미한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